<xinetd>
xinetd(extended Internet daemon) ☞ 다른 데몬의 실행을 관장하는 오픈 소스 슈퍼 서버 데몬이다. 네트워크에 들어오는 요청을 듣고 적절한 데몬을 실행해 요청을 처리한다. [출처 ☞ ko.wikipedia.org/wiki/Xinetd]
데몬(daemon) ☞ 부팅 시 자동적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적절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. 데몬에는 standalone, xinetd(슈퍼데몬)이라는 두 가지의 작동 방식이 있다. standalone 방식은 메모리를 차지하고 상시 대기하는 방식이다. 상시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사용할 때는 메모리를 차지하고 종료될 때 메모리에서 삭제되는 xinetd 방식을 사용하면 더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가 가능하다.
/etc/xinetd.conf ☞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환경 설정 파일이다.
cps ☞ 초당 접속 연결을 제한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. [초당 접속 연결 가능한 수] [초당 접속 연결 가능한 수 이상일 경우 제한 시간]
정답 ☞ ① cps = 50 10
출처 ☞ 호스트웨이님의 글
<squid 프록시 서버>
프록시 서버(proxy server) ☞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 시스템이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.
[출처 ☞ ko.wikipedia.org/wiki/%ED%94%84%EB%A1%9D%EC%8B%9C_%EC%84%9C%EB%B2%84]
+ 프록시는 보안 기능과 인터넷을 빠르게 사용하기위해(캐싱) 사용한다고 알려져있다.
squid ☞ 반복된 요청을 캐싱하거나 웹 서버의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려는 사람들에게 웹, DNS와 다른 네트워크 검색의 캐싱을 제공하고, 트래픽을 걸러줌으로써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된다. [출처 ☞ ko.wikipedia.org/wiki/%EC%8A%A4%ED%80%B4%EB%93%9C_(%EC%86%8C%ED%94%84%ED%8A%B8%EC%9B%A8%EC%96%B4)]
squid.conf ☞ 서버 환경 설정 파일이다.
서비스 포트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은 ③ http_port 이다.
<DHCP 서버>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☞ 호스트의 IP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다. IP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환경 설정 파일 ☞ /etc/dhcp/dhcpd.conf
게이트웨이 ☞ 서로 다른 네트워크 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.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한다는 면에서 라우터, 스위치와 구별된다. [출처 ☞ ko.wikipedia.org/wiki/%EA%B2%8C%EC%9D%B4%ED%8A%B8%EC%9B%A8%EC%9D%B4]
정답 ☞ ④ routers
<VNC>
VNC(Virtual Network Computing) ☞ RFB 프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를 제어하는 공유 시스템이다. 화면 프레임을 그대로 받아오기 때문에 SSH보다는 느리지만 마우스와 키보드 입력으로 디스플레이, GUI를 조종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. realVnc 와 TightVnc 소프트웨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.
② NTP(Network Time Protocol) ☞ 네트워크로를 통해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이다.
③ MQTT(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) ☞ 발행-구독 기반의 메시징 프로토콜이다.
④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☞ 호스트의 IP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다. IP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.
정답 ☞ ① RFB(Remote Frame Buffer)
<서버 환경 설정>
① ServerRoot ☞ 웹 서버의 홈 디렉터리를 설정하는 옵션이다.
② ServerAdmin ☞ 웹 문서 로딩 에러가 발생할 때 해당 에러 페이지를 입력한 연락처에 전송한다.
③ ServerName ☞ [도메인명:포트번호] 형식으로 사용하며, 따로 IP주소에 도메인명을 할당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옵션이다.
④ DocumentRoot ☞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반환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내용물들의 위치를 지정할대 사용하는 옵션이다.
'리눅스마스터 1급 > 2001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96번 - 100번) (0) | 2021.02.09 |
---|---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86번 - 90번) (2) | 2021.02.03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81번 - 85번) (0) | 2021.01.30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76번 - 80번) (0) | 2021.01.28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71번 - 75번) (0) | 2021.01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