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리눅스마스터 1급/2001회
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11번 - 15번)

반응형

 

<파일 시스템의 이해>

i-node(index node) ☞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다.

 

저널링 기술 ☞ 데이터를 디스크에 쓰기 전 로그에 데이터를 남겨 fsck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다. [ext3]

 

fsck ☞ Filesystem check의 약자로 e2fsck, badblocks, tune2fs와 함께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이다.

 

chkdsk ☞ Check Disk의 약자로 하드 사용량 체크를 의미한다. 마이크로소프트 도스에서 사용할 수 있고 리눅스에는 du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.

 

정답 ☞ ①

 

 

 

 

 

 

<하드웨어의 이해 , RAID>

RAID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) ☞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한다. 다양한 방식으로 안전성과 속도 성능을 높일 수 있다.

 

Parity(패리티) 정보 ☞ 다른 정보 블럭과 연결된 중복 정보이다. 디스크 고장 시 복구 작업을 위해 사용된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① RAID-5 ☞ 패리티 정보를 보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디스크를 사용한 RAID-3, RAID-4와 달리 디스크 배열에 각 하나씩 패리티 정보를 삽입한다. 하나의 디스크가 고장 나도 다른 디스크에 있는 패리티 정보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.

② RAID-6 ☞ 구조는 RAID-5와 같지만 각 디스크 배열에 2차 패리티 정보를 삽입하여 두 개의 디스크가 고장나도 나머지 디스크의 패리티 정보를 이용하여 복구할 수 있다. RAID-5 보다 속도는 느리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/복구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.

③ RAID-9 ☞ 없다.

④ RAID-10 ☞ 최소 4개 이상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디스크 2 개를 먼저 Mirroring(RAID-1)하고 Striping(RAID-0)으로 결합한 방식이다.

 

RAID에 대한 정확한 내용은 manual factory님의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.

 

리눅스 / RAID의 뜻과 종류

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게 하는 기술. 예를 들어 1TB 하드디스크 두 개를 묶어서 2TB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.

www.manualfactory.net

 

 

 

 

</etc 디렉터리의 기능>

① /etc/motd ☞ 성공적으로 로그인하였을때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출력 메시지를 기록하는 파일이다.

 /etc/inittab ☞ 리눅스 부팅 레벨(runlevel)을 설정하는 파일이다.

/etc/issue ☞ 로그인 전에 출력되는 내용이다.

④ /etc/issue.net ☞ 원격접속으로 로그인하였을 때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출력 메시지를 기록하는 파일이다.

 

 

 

 

 

<X 윈도 시스템>

 X윈도는 서버/클라이언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X프로토콜의 형태로 서버/클라이언트 간 메시지 교환(명령 ☞ 응답)이 가능하다. startx 명령어로 X 윈도를 구동하며 xhost 명령어를 이용하여 X 윈도 서버의 호스트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.

 

정답 ☞ ④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<쉘>

① bash_history 라는 숨김 파일에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를 차례대로 기록해놓기 때문에 방향키(↑,↓) 버튼으로 사용했던 명령어를 간단히 불러올 수 있다.

② 표준에러(Standard error)는 쉘에서 숫자 값 2로 표기한다. 0은 표준 입력, 1은 표준 출력으로 표기하고 있다.

③ 사용자가 로그인 쉘을 변경하려면 shch 명령어가 아닌 chsh(Change Shell)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.

④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grep [사용자명] /etc/passwd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으나

 

[user_account] : [user_password] : [UID] : [GID] : [comment] : [home_directory] : [login_shell]

 

순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5번째 필드가 아닌 7번째 필드(login_shell)에서 확인

할 수 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