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파일 권한>
리눅스에서는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로는 chmod를 사용한다. chmod는 Change Mode의 약자로 수(이진수)또는 문자로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며, ls -a 명령어로 디렉터리나 파일의 현재 권한을 알 수 있다.
디렉터리와 파일의 소유자로는 User(사용자)와 Group(그룹), Other(다른 사용자)로 나뉘는데 앞 철자를 따 u, g, o로 표현한다. 기본적으로 Read(읽기), Write(쓰기), Execute(실행) 세 가지의 권한 옵션이 있으며, 특수 권한으로 SetUID(소유자), SetGID(그룹 소유자)의 앞 철자 s가 있고 Sticky Bit(공유 디렉터리)의 t가 있다. t 옵션의 경우 공유 디렉터리 안에서 생성한 파일은 소유권이 생성한 사용자에게 있어 삭제 또한 파일을 생성한 사용자만 가능하다. 그래서 위 문제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세 가지이다.
1) /data 디렉터리 ☞ /data
2) 여러 사용자 ☞ o
3) 공유 디렉터리 ☞ t
위 단서의 세 가지를 조합하면 자연스럽게 chmod o+t /data 명령이 정답임을 알 수 있다.
정답 ☞ ④chmod o+t /data
<PID>
프로세스가 실행되면서 메모리에 들어오는 동시 각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고유의 번호를 할당 받게되는데 이를 PID(Process IDentifier)또는 프로세스 식별자라고 부른다.
프로세스를 실행한 파일명은 프로세스/PID/실행을 뜻하는 ② /proc/1222/exe 가 이 문제의 정답이 될 수 있다.
눈치있게 고르기엔 간단했지만 PID라는 내용 자체는 꽤 어려웠다.
출처 ☞ netlog님의 티스토리 블로그
프로세스 식별자 ( PID ) ? 프로세스의 상태 ?
(1) PID PID는 Process IDentifier로 프로세스 식별자라 하며 유닉스 커널과 같은 운영체계에서 각 프로세스나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 할당하는 고유한 번호이다. PID는 'fork'라는 시스템 호출에 의해 반
netlog.tistory.com
<시스템 작업 예약 명령어>
상시 작동하여 사용자를 돕는 데몬 프로그램중 하나인 cron은 주기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. 이 작업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는데 [분, 시, 일, 월, 요일, 사용자명, 실행 명령] 순으로 6개의 필드를 입력해야 하는 규칙이다.
또한 특수 기호를 사용하여 규칙을 바꿀 수 있다. * 는 해당 필드의 모든 값, -는 ~와 같은 의미로 어디에서 어디까지를 정할 수 있으며 ,는 개별 선택(또는)을 의미하고 /는 특정 주기로 나눌 때 사용한다.
10분을 주기로 실행되기 때문에 /10을 사용해야 한다.
정답 ☞ ① */10 * * * * /etc/lin.sh
출처 ☞ jhnyang님의 티스토리 블로그
[Linux]작업 예약 스케줄러(크론Cron)파일,자동 백업 명령 & 관련 문제
리눅스 완전 정복 : 리눅스 목차 cron이란? 특정한 시간에 또는 특정 시간 마다 어떤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cron입니다. cron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
jhnyang.tistory.com
<검색 명령어>
리눅스를 처음 해보았을때 모르는 것이 아주 많고 각 디렉터리 별로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궁금하여 인터넷에 나오는 것들을 다짜고짜 찾아본 적이 있다. 디렉터리나 파일을 삭제하거나 찾을 때 find나 grep 명령어를 이용하여 했던 기억이 있다.
lin.txt 파일 안에서 a로 시작되는 줄만 검색하는 방법은 ^이 a 앞에 붙으면 된다.
정답 ☞ ② grep ^a lin.txt
<시그널>
httpd는 HTTP Daemon의 약자이다. 이는 웹 서버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, 들어오는 서버 요청을 대기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. 이 데모은 자동으로 요청에 응답하며 HTTP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경유, 하이퍼텍스트, 멀티미디어 문서들을 서비스한다.
출처 ☞ ko.wikipedia.org/wiki/Httpd
① kill 명령어는 입력한 프로세스에 SIGKILL을 전달하여 강제 종료시킨다. PID를 직접 입력하여 프로세스 종료 시그널을 보내기 때문에 httpd와 함께 쓸 수 없다.
② ps 명령어로 활동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는데 옵션을 사용하여도 너무 많은 프로세스가 나오기 때문에 이를 grep으로 걸러서 출력할 수 있다. pgrep은 ps와 grep이 합쳐진 명령어로 위와 같은 복잡한 업무를 단순화하는 기능이 있다.
③ kill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httpd와 같이 지정하여 종료 시그널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.
④ killall [프로세스명] 명령어로 해당 프로세스의 모든 것을 종료할 수 있다.
'리눅스마스터 1급 > 2001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31번 - 35번) (0) | 2021.01.06 |
---|---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26번 - 30번) (0) | 2021.01.05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16번 - 20번) (0) | 2021.01.03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11번 - 15번) (0) | 2021.01.02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6번 - 10번) (0) | 2021.01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