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사용자 계정 관리 도구>
usermod ☞ 사용자 계정의 정보를 변경하는 명령어로 쓰인다. 다양한 옵션이 있다.
③ usermod -e 2020-12-31 ihduser ☞ 계정 만기일을 변경한다. YYYY-MM-DD 또는 MM/DD/YY의 형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.
<계정 정보 파일>
/etc/passwd 파일에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계정 정보가 담겨있다. 순서대로 [user_account] : [user_password] : [UID] : [GID] : [comment] : [home_directory] : [login_shell] 7가지의 필드를 갖고 있다.
여기서 UID를 살펴보면 그 계정이 root 권한을 갖는지 알 수 있는데 0일 경우 관리자, 1~499일 경우에는 시스템 계정이며 500 이상의 수 일 경우에는 일반 계정임을 알 수 있다.
정답 ☞ ② /etc/passwd의 세 번째 필드 값이 0인 사용자를 찾는다.
<소스 컴파일 단계>
configure ☞ 영단어의 뜻 그대로 환경설정을 하는 과정이다. 단순히 빌드만 해보아도 꼭 거치는 configure - make -make install 단계 중 하나이다. config.log에 진행한 내용을 기록하면서 해당 플랫폼의 아키텍처와 수많은 에러를 발생시키는 의존성 등 많은 정보를 Makefile에 저장한다.
정답 ☞ ④ Makefile
<패키지 설치/삭제 도구>
yum(Yellowdog Updater Modified) ☞ 레드햇에서 yum을 데비안에서는 apt를 사용한다. 두 도구는 모두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설치하고 삭제할 수 있는 도구이다. 패키지를 제거할 때는 erase나 remove로 삭제할 수 있는데 해당 패키지와 의존성이 있는 패키지까지 함께 삭제해준다.
정답 ☞ ① yum erase telnet-server
<nohup>
리눅스, 유닉스에서 쉘 스크립트 파일을 데몬 형태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얘기한다. 터미널 세션이 끊겨도 실행을 멈추지 않고 동작하도록 돕는다. nohup을 실행할 때 쉘 스크립트 파일의 퍼미션이 755 이상이어야 작동한다.
데몬 ☞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의 요청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는 도구이다.
& ☞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.
① bg(background) ☞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실행할때 쓰는 명령어이다.
② fg(foreground) ☞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작업을 포어그라운드로 옮길 때 사용한다.
③ jobs ☞ 현재 백그라운드 작업들과 상태를 출력한다.
④ nohup
출처 ☞ 불곰님의 티스토리 블로그
[Linux] nohup, &
nohup이란 리눅스, 유닉스에서 쉘스크립트파일 (*.sh)을 데몬형태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터미널 세션이 끊겨도 실행을 멈추지 않고 동작하도록 함 &이란? 프로세스를 실행할 때 백그라운드에서
brownbears.tistory.com
'리눅스마스터 1급 > 2001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41번 - 45번) (0) | 2021.01.09 |
---|---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36번 - 40번) (0) | 2021.01.07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26번 - 30번) (0) | 2021.01.05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21번 - 25번) (0) | 2021.01.04 |
[리눅스마스터 1급] 2001회 1차 A형 기출문제 풀이 (16번 - 20번) (0) | 2021.01.03 |